카테고리 없음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한 준비물: 실업급여 수령자의 경우

tivana 2025. 2. 1. 02:3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제 곧 다가올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이 걱정되시나요? 실업급여를 받은 경험이 있으시다면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2023년 6월부터 2024년 6월까지 일을 하시다가 실업급여를 받으셨다고 하셨는데요, 이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단계별로 필요한 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 1.실업급여의 과세 여부

 

우선, 실업급여는 비과세 소득입니다.

 

즉, 실업급여 자체는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증빙자료는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실업급여 수령 이전에 근무하신 직장에서의 소득은 신고 대상입니다.

 

따라서 근무하셨던 시기의 소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셔야 해요.

 

💡 2.소득증명 자료: 전직장에서 받아야 할 문서

 

전직장에서 근무하면서 발생한 소득에 대한 증빙이 필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서류는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입니다.

 

이 영수증은 근무 기간 동안 얼마나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원천 징수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서류입니다.

 

보통 근무한 회사에서 제공하므로 전직장에 연락하여 원천징수영수증 발급을 요청하세요.

 

이 외에도 연말정산을 통해 받으신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의 공제를 입증할 자료가 있다면 함께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3.홈택스를 통한 종합소득세 신고

 

국세청의 온라인 서비스인 홈택스를 활용하면 종합소득세 신고가 훨씬 수월합니다.

 

홈택스를 통해 전자신고를 할 수 있으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홈택스 접속 후 로그인.

2.'신고/납부' 메뉴에서 '종합소득세 신고' 선택.

3.원천징수영수증 등의 소득증명 자료와 공제 증빙자료 입력.

4.필요시, 소통채널(국세청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

 

특히, 홈택스는 이전 연도의 연말정산 자료를 기반으로 세액을 자동 계산해주는 기능도 제공하므로 이를 활용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4.기타 고려사항

 

마지막으로 잊지 말아야 할 점은 신고기한입니다.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가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입니다.

 

기한을 넘기면 가산세 등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간 내에 신고를 완료하도록 하세요.

 

준비 잘 하셔서 많은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다른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소득세 #종합소득세신고 #실업급여 #연말정산 #원천징수영수증 #홈택스 #국세청

728x90
반응형